시험을 위해 Gynäkologie 와 Geburtshilfe를 공부하면서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 임신중독증이라고 들었을 때, '뭐에 중독이라는 거야?'라며 도대체 그게 무엇인가 항상 궁금했었는데 드디어 알게 되었다.
임신중독증이란,
혈압상승 (특히 확장기 혈압, diastole)과 소변에서 단백이 검출되는 질환을 말한다.
≥140/90 mmHg 이상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몸무게 증가, 부종과 심한 두통, 소변량 감소, 시력이상이 있다.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증상들이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산부인과 정기검진을 받아 혈압 측정과 소변검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험인자로는 다음 아래와 같다.
1. 자가면역질병을 갖고 있을 때 - 항인지질항체증후군 (antiphorpholipidsyndrom), SLE
2. 비만 BMI가 30보다 높을 경우
3. 당뇨병이 있을 경우
4. 나이가 40 이상
5. 가족력이 있을 때
6. 첫 째 아이를 임신했을 경우 ( 첫 임신)
7. 신장질환이 있는 경우
8. 임신당뇨가 있을 경우
9. 쌍둥이나 다태임신일 경우
임신 중 고혈압은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매우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태아에게는 자궁 내 성장장애, 태반 사망, 자궁 내 저산소증, 태반의 조기 분리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산모에게는 자간 (Eclampsia), 신부전, 만성신부전, 혈액응고장애, 만성 고혈압 등이 있다.
치료로는 혈압을 낮추기 위한 약물 치료가 있으며, 임신 주수와 중증도에 따라 분만을 시행할 수도 있다.
약물 치료로는, a-Methyldopa와 Dihydralazin을 사용한다.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자기 상복부 배가 아플때, 급성 췌장염 (acute Pankreatitis) (0) | 2022.02.05 |
---|---|
독일세금, 비트코인 독일에서는 세금 얼마나내야할까? (0) | 2021.10.09 |
고혈압에 쓰이는 약, Antihypertensive Therapie(Drugs) (0) | 2021.09.28 |
Morbus Bechterew, 경직성 척추염이란 (0) | 2021.05.08 |
독어 - 동사와 함께 쓰이는 전치사 정리 1탄 (0) | 2021.03.04 |
댓글